구분 | 솔루션명 | URL |
WEB & WAS | apache | |
Apache tomcat | http://tomcat.apache.org/ | |
Caouch resin | http://www.caucho.com/ | |
Jetty | http://jetty.mortbay.org/jetty/ | |
Jboss | http://www.jboss.org/ | |
Glassfish | https://glassfish.dev.java.net/ | |
JOnAS | http://wiki.jonas.ow2.org/xwiki/bin/view/Main/WebHome | |
Geronimo | http://incubator.apache.org/projects/geronimo/ | |
Portal | Jportal | |
liferay | ||
CRM | SugarCRM | www.sugarcrm.com/crm |
SplendidCRM | www.splendidcrm.com | |
ConcourseSuite | www.concursive.com/concoursesuite.shtml | |
Hipergate | www.hipergate.org | |
ERP | Compiere | www.compiere.com |
Openbravo | www.openbravo.com | |
PostBooks | www.xtuple.com/postbooks | |
JFire | www.jfire.org | |
BI | Pentaho BI Suite | www.pentaho.com |
ESB | Glassfish ESB | https://open-esb.dev.java.net/ |
JBoss ESB | ||
Celtix ESB | ||
Apache Synapse | http://synapse.apache.org/ | |
zimbra | http://www.zimbra.com/ | |
sendmail | http://www.sendmail.org/ | |
open xchange | http://www.open-xchange.com/ | |
DB | MYSQL | http://www.mysql.com/ |
PostgreSQL | http://www.postgresql.org/ | |
Firebird | http://www.firebirdsql.org/index.php | |
OpenLDAP | http://www.openldap.org/ | |
CUBRID | http://www.cubrid.com/zbxe/ | |
Berkeley DB | http://www.oracle.com/technology/software/products/berkeley-db/index.html | |
logging | LOG4J | http://logging.apache.org/log4j/ |
common logging | http://commons.apache.org/logging/ | |
jLo | http://jlo.jzonic.org/ | |
caching | OScache | http://www.opensymphony.com/oscache/ |
JBossCache | http://jboss.org/jbosscache/ | |
Terracotta | http://terracotta.org/web/display/orgsite/Distributed+Cache | |
charting & reporting | JFreeChart | http://www.jfree.org/jfreechart/ |
iReport | http://jasperforge.org/plugins/project/project_home.php?projectname=ireport | |
BIRT | http://www.eclipse.org/birt/phoenix/ | |
Framework | Spring | http://www.springsource.org/ |
Struts | http://struts.apache.org/ | |
Hibernate | https://www.hibernate.org/ | |
Anyframe | http://www.anyframejava.org/main | |
AppFuse | http://appfuse.org/display/APF/Home | |
jdon | https://jdon.dev.java.net/ | |
tapestry | http://tapestry.apache.org/ | |
webwork | http://www.opensymphony.com/webwork/ | |
editor | eclipse | http://www.eclipse.org/ |
netbean | http://www.netbeans.org/ | |
Virtualization | Xen Hypervisor | www.xen.org |
OS | Red Hat, Asinux, SuSe, G-nux, Debian, Ubuntu |
'IT 전문가'에 해당되는 글 10건
- 2009.09.22 OPENSOURCE 기반 솔루션 2009.09.21
- 2009.09.21 OPENSOURCE catalogue
- 2009.05.03 AWR report 생성 및 분석 1
- 2009.05.03 시스템 문제 분석 위한 명령어들
- 2008.04.23 inode maximum number 장애 처리 건
- 2008.04.20 II급 진급 교육 후기
- 2008.03.30 EXPERT WAY 교육 후기
- 2008.03.27 타카하시 메소드 (PT방법)
- 2008.03.20 새마을금고 자기앞수표 프로젝트 후기
- 2008.03.19 ITA/EA 기본 교육 후기
출처 : http://chanwook.tistory.com/435
HTTP Web Server & Wec Container (S = server, C = container)
- apache HTTP WebServer :: http://httpd.apache.org/ (S)
- Jakarta Tomcat :: http://tomcat.apache.org/ (C)
- jetty :: http://jetty.mortbay.org/ (S/C)
- Geronimo :: http://incubator.apache.org/projects/geronimo/ (C)
- Resin :: http://www.caucho.com/ (C)
- simple :: http://simpleweb.sourceforge.net/index.php (?)
- Jo! :: http://www.tagtraum.com/ (S/C)
- Jigsaw :: http://www.w3.org/Jigsaw/ (S)
- firecat :: http://firecat.nihonsoft.org (S - server side javascript web server !)
Build System
- Ant :: http://ant.apache.org/
- Maven :: http://maven.apache.org/
- Rant :: http://sourceforge.net/projects/remoteant/
- Savant :: https://savant.dev.java.net/
- Cruise Control :: http://cruisecontrol.sourceforge.net/
J2EE Frameworks
- Spring :: http://www.springframework.org/
- GlassFish :: https://glassfish.dev.java.net/
- jdon :: https://jdon.dev.java.net/
- AppFuse :: http://appfuse.org
Web Frameworks
- Struts :: http://jakarta.apache.org/struts/
- Tapestry :: http://jakarta.apache.org/tapestry/
- WebWork :: http://www.opensymphony.com/webwork/
- Spring :: http://www.springframework.org/
- DWR :: http://www.getahead.ltd.uk/dwr/
Persistence
- Hibernate :: http://www.hibernate.org/
- OJB :: http://db.apache.org/ojb/
- Torque :: http://db.apache.org/torque/
- Castor :: http://www.castor.org/
- iBatis SQL Maps :: http://ibatis.apache.org/javadownloads.cgi
- TopLink Essential
Application Server
- JBoss :: http://www.jboss.org/
- JOnAS :: http://jonas.objectweb.org/
- OpenEJB :: http://www.openejb.org/
- Geronimo :: http://incubator.apache.org/projects/geronimo/
- Resin :: http://www.caucho.com
Template Engine
- Velocity :: http://jakarta.apache.org/velocity/
- FreeMarker :: http://www.freemarker.org/index.html
- StringTemplate :: http://www.antlr.org/stringtemplate/index.tml
- SiteMesh :: http://www.opensymphony.com/sitemesh/
JSP Tag Library
- Display tag library :: http://displaytag.sourceforge.net/
- DBForms :: http://jdbforms.sourceforge.net/
- Jakarta Taglibs :: http://jakarta.apache.org/taglibs/
- Google JSP Tag Library :: http://google-taglib.sourceforge.net/
Sciprt Languages
- Groovy :: http://groovy.codehaus.org/
- Jython :: http://www.jython.org/
- JRuby :: http://jruby.sourceforge.net/
Byte Code
- Javaassist :: http://labs.jboss.com/javassist/
- BCEL :: http://www.java-source.net/open-source/bytecode-libraries/bcel
- ObjectWeb ASM :: http://asm.objectweb.org/
- cglib :: http://cglib.sourceforge.net/
- JBET :: http://opensource.nailabs.com/jbet/
Parser Generators
- ANTLR :: http://www.antlr.org/
- SableCC :: http://www.sablecc.org/
- JavaCC :: http://javacc.dev.java.net
Connection Pools
- Jakarta DBCP :: http://jakarta.apache.org/commons/dbcp/
- C3P0 :: http://sourceforge.net/projects/c3p0
- Proxool :: http://proxool.sourceforge.net/
- SmartPool :: http://smartpool.sourceforge.net/
Caching Solution
- OSCache :: http://www.opensymphony.com/oscache/
- Java Caching System :: http://jakarta.apache.org/turbine/jcs/
- EHCache :: http://ehcache.sourceforge.net/
- JCache :: http://jcache.sourceforge.net/
- TreeCache / JBossCache :: http://www.jboss.org/products/jbosscache
- Open Terracotta :: http://terracotta.org/
Collections
- Commons Collections :: http://jakarta.apache.org/commons/collections/
- Trove :: http://trove4j.sourceforge.net/
- Commons Primitives :: http://www.java-source.net/open-source/collection-libraries/commons-primitives
- tclib :: http://www.sosnoski.com/opensrc/tclib/index.html
Logging Tools
- Log4j :: http://logging.apache.org/log4j/docs/
- Commons Logging :: http://jakarta.apache.org/commons/logging/
- jLo :: http://jlo.jzonic.org/
- SLF4J :: http://www.slf4j.org
Editors
- Eclipse :: http://www.eclipse.org/
- NetBeans :: http://www.netbeans.org/
Testing Tools
- JUnit :: http://www.junit.org/
- Cactus :: http://jakarta.apache.org/cactus/
- DBUnit :: http://dbunit.sourceforge.net/
- The Grinder :: http://grinder.sourceforge.net/
- jMock :: http://www.jmock.org/
- EasyMock :: http://www.easymock.org/
- SQLUnit :: http://sqlunit.sourceforge.net
- TestNG :: http://www.beust.com/testng/
Charting & Reporting
- JFreeChart :: http://www.jfree.org/jfreechart/
- JasperReports :: http://jasperreports.sourceforge.net/
- iReport :: http://ireport.sourceforge.net/
- BIRT :: http://www.eclipse.org/birt/
select snap_interval, retention from dba_hist_wr_control;
(20분 간격으로 2일보관주기로 변경)
begin
dbms_workload_repository.modify_snapshot_settings (
interval => 20,
retention => 2*24*60
);
end;
execute dbms_workload_repository.create_snapshot;
exec sys.dbms_workload_repository.create_snapshot('ALL');
$ORACLE_HOME/rdbms/admin/awrrpt.sql 수행
Enter value for num_days: 1 << 최근 하루 동안의 snap 조회
Enter value for end_snap: 1271 << 09:08 ~ 14:00 구간에 대한 조회 요청
Enter value for report_name: awrrpt_1_1266_1271.txt << 보고서 이름 지정
1. Load Profile 분석
Snap 구간 동안의 DBMS 성능 통계를 보여준다. 기본적인 DBMS 성능의 Baseline을 제공한다.
초당 Transactions 및 SQL 호출 수 등을 통해 DBMS의 Activity 를 분석한다.
Shared Pool 및 Buffer Cache의 Hit Rate 등 메모리 활용의 적절성을 분석한다.
CPU time이 높은 비율로 유지되어야 하며 기타 I/O 를 위한 Wait이나 Lock 발생여부를 분석한다.
SQL ordered by Gets 항목 분석을 통해 I/O를 많이 유발하는 Bad SQL을 찾아서 튜닝한다
==============================================================================================
MMON 백그라운드 프로세스와 여러 개의 슬레이브 프로세스를 통해 자동으로 매 시간마다 스냅샷 정보를 수집한다.
수집된 데이타는 7일 후 자동으로 삭제된다. 스냅샷 주기와 보관 주기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 가능하다.
1. AWRRPT에서 SNAP_ID와 SQL_ID로 바인드 변수 찾기
-------------------------------------------------
1.1 awrrpt의 레포트파일의 SNAP_ID 및 SQL_ID를 활용
SQL> select *
from dba_hist_sqlbind
where SNAP_ID=2099
and SQL_ID='92rpbbrrb3bqj';
SQL> select *
from dba_hist_sqlbind
where SNAP_ID between 18797 and 18814 -- between [Begin Snap] and [End Snap]
and SQL_ID='1g8h29fbpv5yu';
1.2 SQL_ID알고 최근 SNAP_ID를 구하여 활용
SQL> select max(SNAP_ID) from dba_hist_sqlbind where SQL_ID='92rpbbrrb3bqj';
2099
SQL> select *
from dba_hist_sqlbind
where SNAP_ID=2099
and SQL_ID='92rpbbrrb3bqj';
2. 실행중인 SQL을 SID로 찾아 PLAN 보기
------------------------------------
SQL> select 'select * from TABLE(dbms_xplan.display_cursor('''||sql_id||''','||SQL_CHILD_NUMBER||')) ;'
from v$session
where sid = 4194;
결과 : select * from TABLE(dbms_xplan.display_cursor('bqxzbkrtt26gj',0)) ;
-- 결과를 실행
SQL> select * from TABLE(dbms_xplan.display_cursor('bqxzbkrtt26gj',0)) ;
3. V$SESSION의 SQL_HASH_VALUE로 SQL 찾기
--------------------------------------------
SQL> select sql_text
from v$sqltext
where hash_value = 2555467871
order by piece;
4. /*+ gather_plan_statistics */ 힌트와 dbms_xplan.display_cursor 패키지를 이용한 플랜보기
---------------------------------------------------------------------------------------
- statistics_level = all 인 경우에는 Hint 불필요
- SQL 실행 시 Row Source 레벨의 통계 정보 수집
- E-Rows(예측 Row 수)와 A-Rows(실제 Row 수)의 비교를 통해 통계정보의 오류를 파악할 수 있음
- Optimizer가 얼마나 합리적인 실행 계획을 세우느냐는 Cardinality, 즉 예상 Row수의 정확성에 달려 있음
SQL> select /*+ gather_plan_statistics */ * from tb_test where id < 1000;
또는
SQL> alter session statistics_level = ALL;
SQL> select * from tb_test where id < 1000;
SQL> select * from table(dbms_xplan.display_cursor(null,null,'ALLSTATS LAST'));
---------------------------------------------------------------------------------------------------------
| Id | Operation | Name | Starts | E-Rows | A-Rows | A-Time | Buffers |
---------------------------------------------------------------------------------------------------------
| 1 | TABLE ACCESS BY INDEX ROWID| TB_TEST | 1 | 1 | 1000 |00:00:00.01 | 140 |
|* 2 | INDEX RANGE SCAN | TB_TEST_IDX | 1 | 1 | 1000 |00:00:00.01 | 70 |
:
- 주요 항목 설명
. E-Rows: 예측 Row 수
. A-Rows: 실제 Row 수
. A-Time: 실제 소요 시간
. Buffers: Logical Reads
참고) dbms_xplan.display_cursor(sql_id, child_number, format)의 format 종류
- Basic
- Typical
- Outline
- All
- Advanced
* allstats last
* +peeked_binds : 예) dbms_xplan.display_cursor(null,null,'ALLSTATS LAST +peeked_binds');
5. 스냅샷 직접 생성(수동)
---------------------
SQL> execute dbms_workload_repository.create_snapshot;
SQL> SELECT snap_id, begin_interval_time begin, end_interval_time end FROM SYS.DBA_HIST_SNAPSHOT;
SQL> SELECT snap_id, startup_time FROM dba_hist_snapshot ORDER BY 1,2;
SNAP_ID STARTUP_TIME
---------- --------------------
10 2007/12/19 10:27:32.000 <-- 삭제할 첫번째 스냅샷
11 2007/12/19 10:27:32.000
12 2007/12/19 10:27:32.000
13 2007/12/19 10:27:32.000
14 2007/12/19 10:27:32.000
15 2007/12/19 10:27:32.000 <-- 삭제할 마지막 스냅샷
16 2007/12/19 10:27:32.000
17 2007/12/19 10:27:32.000
12 rows selected.
6. SNAP_ID 범위 지정하여 삭제
--------------------------
SQL> exec dbms_workload_repository.drop_snapshot_range(10, 15);
7. AWR 스냅샷 주기와 보관 주기 설정
--------------------------------
1] 스냅샷주기(1시간,default) 및 보관주기(7일,default) 조회
SQL> SELECT snap_interval , retention FROM dba_hist_wr_control;
SNAP_INTERVAL RETENTION
-------------------------- ---------------------------
+00000 01:00:00.0 +00007 00:00:00.0
2] 스냅샷주기(10분) 및 보관주기(15일)을 변경
SQL> execute DBMS_WORKLOAD_REPOSITORY.MODIFY_SNAPSHOT_SETTINGS
(interval => 10, -- 분단위
retention => 15*24*60); -- 15일
3] 스냅샷주기(10분) 및 보관주기(15일) 조회
SQL> SELECT snap_interval , retention FROM dba_hist_wr_control;
SNAP_INTERVAL RETENTION
-------------------------- ---------------------------
+00000 00:10:00.0 +00015 00:00:00.0
8. AWR Report 생성
----------------
과거의 DB의 상태를 awrrpt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SQL> connect / as sysdba
SQL> @?/rdbms/admin/awrrpt.sql 실행
:
Enter value for report_type: html 입력
:
Enter value for num_days: 8 입력
Listing the last 8 days of Completed Snapshots
Snap
Instance DB Name Snap Id Snap Started Level
------------ ------------ --------- ------------------ -----
DB_SID DB_NAME 20159 01 Aug 2008 00:00 1
20160 01 Aug 2008 01:00 1
20161 01 Aug 2008 02:00 1
20162 01 Aug 2008 03:00 1
20163 01 Aug 2008 04:00 1
20164 01 Aug 2008 05:00 1
20165 01 Aug 2008 06:00 1
20166 01 Aug 2008 07:00 1
20167 01 Aug 2008 08:00 1
20168 01 Aug 2008 09:00 1
:
20333 08 Aug 2008 06:00 1
20334 08 Aug 2008 07:00 1
20335 08 Aug 2008 08:00 1
20336 08 Aug 2008 09:00 1 --- begin
20337 08 Aug 2008 10:00 1
20338 08 Aug 2008 11:00 1
20339 08 Aug 2008 12:00 1 --- end
20340 08 Aug 2008 13:00 1
20341 08 Aug 2008 14:00 1
20342 08 Aug 2008 15:00 1
Enter value for begin_snap: 20336 입력 --- begin
Enter value for end_snap : 20339 입력 --- end
Enter value for report_name: awrrpt_20080808_09-12_DB_SID.html 입력
awrrpt_20080808_09-12_DB_SID.html 파일을 ftp로 pc로 다운로드 받은 후
열어서 SQL ordered by Elapsed Time 항목 등을 확인해 보시면 된다.
#### iptrace 수행 방법 ####
시작 : startsrc -s iptrace -a "-b -p 7700,7711 /sysmgr/tcpdump/iptrace/[`date +%m%d-%H%M%S`].trace"
종료 : stopsrc -s iptrace
#### tcpdump 수행 방법 ####
tcpdump -ni INTERFACE_NUMBER -w FILE_NAME -s 30000 -X -tttt port PORT_NUMBER and host SERVER_IP
ex> tcpdump -ni en6 -w /sysmgr/tcpdump/[`date +%m%d-%H%M%S`]_131.out port 7711 and host 111.72.32.131
#### Filemon 수행 방법 ####
filemon 수행 : filemon -o /tmp/filemon.out -O all
filemon 종료 : trcstop
#### tprof 수행 방법 ####
- #tprof -kseu -R -l -p <TMAX server process name> -x sleep <secondes>
. -k : kernel profiling
. -s : shared library profiling
. -e : kernel extension profiling
. -u : user mode profiling
. -R : smt 모드에서 사용
. -p : 특정 프로세스의 사용 현황을 파악하고자 할 때 사용
. -j : Java Class 및 Method 프로파일링 사용
. -x : x 옵션 이후에는 command가 들어가는데, 이 command가 실행되는 동안 tprof가 수행됨
보통 테스트 시에는 "sleep 120" 정도를 두고 2분 정도 tprof 수행함
. -r <output 파일명> : 위의 명령을 수행시키면, sleep.prof라는 text 파일이 생성되는데, output 파일명을 지정하고자
할때는 -r 옵션을 주면 됨.
1) tprof -kseu -R -l -P all -r all_`date "+%m%d%H%M"`_`hostname` -x sleep 120 (일반 실행 시)
2) tprof -kseuj -R -l -P all -r all_`date "+%m%d%H%M"`_`hostname` -x sleep 120 (Java 환경 실행 시; j 옵션 추가)
3) tprof -kseu -R -l -P -A -r all_`date "+%m%d%H%M"`_`hostname` -x sleep 120 (VPA 용으로 파일 생성)
#### perfpmr 수행 방법 ####
- 설치 위치 : /sysmgr/ibmsupt/perfpmr
- /sysmgr/ibmsupt/perfpmr 밑에 임의의 디렉토리 생성
mkdir TRC;cd TRC
- ../trace.sh 5 | tee -a perfpmr.int ==> 문제 시점에 수집
- ../trace.sh -r ==> 해당 trace 를 report 형태로 만듬.
- curt -i trace.tr -n trace.syms -m trace.nm -o curt.out
생성된 curt.out 을 보면 해당 thread / process 가 수행된 kenel subroutine 별 수행 시간을 볼 수 있음
#### truss 수행 방법 ####
- truss -p [PID] : STDOUT 에 OUT 뿌려짐
- truss -o [파일경로 및 이름] -p [PID]
ex> truss -d -o /tmp/truss.out -p 405730
- truss -d -o [파일경로 및 이름] -p [PID] : TimeStamp
- truss -D -o [파일경로 및 이름] -p [PID] : TimeStamp Delta Time
2. 시스템 구성 : AP 서버 이중화 및 GPFS 구성
3. 장애 원인 :
df -k 로 보았을때
Filesystem 1024-blocks Free %Used Iused %Iused Mounted on
/dev/lv_dDIMS 1048576 1039768 7% 7441 100% /dDIMS
~~~
실제 파일시스템 사용량은 7% 이지만 inode 사용량(%Iused)이 100%로 추가 파일 생성이 불가
4. 장애 처리 :
inode maximum number 증가시켜 장애 처리
보통 파일시스템사이즈가 1.2 TB 라면 평균 7KB 파일들이 쌓인다는 가정하에 inode max. num. 를 100,000,000 로 변경한다고 합니다.
5. Lesson & Learned :
작은 용량의 파일들이 대용량 누적되는 시스템의 경우 inode max. 값에 대해서도 튜닝을 해주는 센스~~
1. 교육기간 : 2008.04.14 ~ 2008.04.18
2. 장소 : LG 인화원
3. 교육 내용
3.1 사전교육(온라인 학습)
. LG Way
: LG Way의 필요성 인식 및 개념 이해를 통해 자신의 업무영역에서 적용하도록 함
LG way 행동원칙 숙지 필요
. 미션1. 고객가치 창조를 위한 과제 도출
: 전략적 사고를 바탕으로 고객에게 가치를 창출 할 수 있는 부서 단위 및 개인 과제를
도출하고 선정하여 목표를 설정한다.
(고객/자사/경쟁사/환경(3C faw분석), SWOT분석, Pay-off matrix, 고객 가치창조를 위한 Tool)
. 미션2. 고객가치 창조를 위한 계획 수립
: 미션1의 설정된 목표에 따른 업무범위 명확화(WBS)하고, 일정계획 수립(CPM)하여,
WBS에 자원 투입계획을 세운다. 이후 향후 발생 가능한 리스크 분석을 실시한다.
. 미션3. 고객가치창조를 위한 실행력 강화
: 수립된 계획을 실행하기 위한 커뮤니케이션 방법을 이해하고, 실행을 위한
Control방법(진척도 관리, 변경관리) 및 업무의 마무리 프로세스를 학습한다.
. 회계 ( Business Accounting )
: 재무제표 구조 이해 및 재무 분석, EVA 등
. Strategic Marketing
: 마케팅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와 활용기법에 대한 교육
전략적 아이디어 창출, 마케팅 전개, 마케팅 기획 절차, 마케팅 기획시 활용 기법 등
3.2 본과정(인화원 합숙)
. 1일차
Pre-Test : 전체 60점 이하면 퇴소 조치 한다고 하기에 두번 숙독하고 시험봤는데 다행히 합격했네요.. 이번 기수는 3명 퇴소 조치되었고요..
LG Way 이해 : 사전교육내용은 이미 숙지된것으로 판단하고, LG Way적용 사례연구를 주로 수행
개인과제: LG Way 실천선언문 작성
. 2일차
미션1: 전략적 사고를 통한 환경분석 Case Study 발표
핵심과제 도출 및 목표설정 Case Study 수행 및 발표
과제 : 고객 가치창조를 위한 과제 도출 (온라인 과제를 좀더 상세히 작성)
. 3일차
미션2: 업무범위 명확화 및 일정계획 수립 Case Study 수행 및 발표
자원투입계획 및 리스크 대응책 수립 및 발표
개인과제 : 고객 가치 창조를 위한 계획 수립 (CPM, 리스크 대응 작성)
. 4일차
미션3: 커뮤니케이션 역량 확보를 위한 1:다수 커뮤니케이션 연습
이해관계자 관리 방법에 대한 실습
개인과제: 고객 가치를 위한 실행력 강화 (이해관계자 분석, 영향력 발휘전략 작성)
UCC제작 : 팀별로 LG Way에 대한 주제에 따라 특색있고 개성적으로 제작
. 5일차
Final Test 및 UCC발표, 과제 정리
final test는 pretest 보다 난이도는 있지만 강사가 과목별 팁을 정리하여 주기때문에 그 위주로 1번 정도 숙독하면 문안하게 통과하실수 있습니다.
4. 참가 소감
- LG Way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할수 있었습니다.
- 허접하긴 했지만 UCC 만들면서 팀원분들과 가장 빨리 친해진것 같습니다.
- 계열사 분들과 4박5일동안 합숙하며 지낸 후 퇴소하려니 역시나 사람인지나 아쉽습니다. 언제 또 만날지도 모를 분들인지라 더욱 그런것 같습니다.
- 전체 점수가 75점 이상되어야 이수되는데 최종적으로 이수된걸 확인하고 떠나게 되어 한편으론 후련합니다 ^^;
5. 마무리
- 2급 과정과 유사한 합숙 과정을 년 1회는 필수적으로 해야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봅니다.
- 팀 토론, 프리젠테이션, 전략적/창의적 사고, 발상의 전환 같은 다양한 교육을 통해 조직원들은 좀 더 성장할 수 있지 않을까요?
교육 일자 : 2008.03.24 ~ 03.26
교육 장소 : 상암 IT 센터
2급 진급 위한 필수 교육중의 하나로 예전에는 smart working course 라는 5일 합숙 교육이었으나 많이 축소되어서 이론 교육은 온라인 교육으로 일부 대체하고 오프라인 교육인 expert way는 3일 출퇴근 교육으로 바뀌었다고 합니다.
복습하면서 정리했으니 나중에 교육가시는 분 계시면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Module 1. Leading Global player
유심히 보신분은 아시겠지만 officeplus 로그인 페이지 중 스노보드 타는 그림 옆에 leading global player 라고 적혀있죠..
자사의 향후 20년 목표라고 합니다. (CEO 메시지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고 합니다)
global company 예로 보면 accenture의 경우 11%, 인도 IT 회사의 경우 20~28%의 영업이익률을 내고 있으며 자사도 글로벌 사업을 전개하여 고수익 실현이 가능하도록 해야합니다.
leading global player로 가는 일환으로 올해 전사 조직개편이 있었습니다
아시겠지만 특징적인 것은 사업부와 delivery 조직을 분리했으며, 분석과 개발 공정 분리를 위해 개발센터 부분을 신설한것입니다.
global company의 경우 (일본, 미국 등) 오래전부터 공정분리를 해서 프로젝트를 한다고 합니다. 개발자가 자기가 만들 프로그램이 어디서 어떻게 쓰이는지 모른 채 개발만 한다고들 하는군요..
Module 2. 고객 가치를 위한 우리의 변화
simuation 게임을 진행했습니다.
고객사에 가서 주문을 받아 주문대로 제품을 만들어 다시 납품하는 일련의 프로세스를 실행하였습니다.
1단계에서는 3개 제조사가 각각 개인별로 몇가지 업무를 분장하여 고객사 주문을 처리하였습니다. 개인별로 업무가 많아 프로세스가 제대로 진행이 안되었습니다
2단계에서는 3개 제조사가 합병되어 프로세스별로 한명씩 업무를 맡을수 있었습니다. 하지만 프로세스 진행시 부하가 걸리는 업무를 한명이 하다보니 부하가 걸려 주문을 처리하는데 다소 시간이 걸렸습니다
3단계에서는 프로세스에 맞게 적절히 인원을 분해하여 프로세스를 진행하다보니 1,2 단계보다 납기 지연이 발생하지 않았습니다.
고객 입장에서, 고객의 성공을 위해 일하라, 고객과의 관계가 중요하다..
Module 3. 우리의 일하는 방법
서상필 전문위원님이 강의해주셨습니다. 3시간이 너무 빨리 지나가 아쉬운 강의였습니다.
현재 자사의 위치와 앞으로 leading global player가 되기 위해 어떻게 해야하는지 자세에 대해 설명해주셨습니다. 기억하고 싶은 부분들만 적어보겠습니다.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해야한다. (소문난 곰탕집에 왜 사람들이 기다리면서 까지 먹으려고 할까? LG CNS도 1사분기에만 한해 수주를 받아 구축해주는 시대가 오진 않을까?)
Delivery Center를 구축해 생산성을 30% 이상 높일 수 있다.
KANO 모델이란 고객이 요청한 것에 대해서는 아무리 잘해줘도 고객 만족도는 향상되지 않는다. 고객이 미쳐 생각하지 못한것 까지 제안하고 해결해주어야 고객만족도가 향상된다는 이론임.
인터뷰 하는 습관을 길들여야 한다. 고객과의 커뮤니케이션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성/수준별 인터뷰 준비 뿐만 아니라 주변 지인들 먼저 인터뷰 대상으로 삼아 많은 연습을 하도록 한다.
1, -8, 50, 10,000 이 숫자를 보고 무엇이 떠오르는가?
아는만큼 보이고, 보이는 만큼 느끼고, 느끼만 만큼 행동한다고 한다.
위 숫자는 아이스 와인을 의미한다. 아이스와인 1병을 만들려면 온도가 영하 8도일때 수확을 해야한다. 영하 8도면 새벽 2~3시 정도인데 1 밭에 50명 정도가 들어가서 수확해야한다. 많은 (10,000) 사랑을 받는다는..
Module 4. 문제해결 방법론
문제해결 원칙 : Fact-Base, MECE, 가설지향
창의적 발상기법 : brainstorming, visualization, mind map, SCAMPER, Combine, 역발상
문제해결 툴 : 3C, SWOT, FAW, 5 Forces, Business system & value chain, core competence, 7's
LG CNS 문제해결 프로세스
이슈확인 : 문제정의, 문제의 구조화, 가설수립
계획수립 : 작업계획 수립
자료수집 : 인터뷰, 문서, 관찰
분석 : 가설 검증/ 수정
종합 : 대안도출, 대안평가/해결안 선정
전달 : 메시지의 구성, 메시지의 전달
각 조별로 주제를 정하여 문제해결 프로세스에 근거하여 자료를 작성하고 발표하였습니다.
LG CNS 컨설팅 기법이 맥킨지 기법을 많이 모방했다고 합니다. PPT 자료도 이미지, 애니메이션 위주에서 텍스트 위주로 많이 바뀐것도 그 이유에서라고 합니다. 예전에는 회장님 보고 시 이미지들이 날라다녔다고 하네요..
실용주의로 많이 변화되었다고 합니다.
짧은 시간이었지만 문제해결 방법론에 대해 간략하게 나마 배울수 있어서 좋았고 마인드맵 프로그램으로 logic tree 를 MECE적으로 자주 그려보도록 노력하렵니다.
참조 도서 : 경영전략실천매뉴얼
참조 CoP : FunFun PT (PPT 애니메이션 자료 참조)
타카하시 메소드의 방식은 매우 단순하다. 기존의 프레젠테이션의 경우 슬라이드 화면에 가능한 한 많은 정보를 삽입하고자 노력하였다면, 타카하시 메소드는 그와 반대로 대부분의 페이지들은 주제를 나타내는 큰 크기의 글자와 또는 그림으로 화면을 채운다. 보통 슬라이드 한 페이지에 대부분 단어 하나 또는 두 개 정도로 표현을 한다
-------------------------------------------------------------------
전체 내용 URL
http://www.zdnet.co.kr/itbiz/column/anchor/minupark/0,39035389,39164309,00.htm
동영상 사례 URL
http://youtube.com/watch?v=RrpajcAgR1E
굉장히 인상적임..
단순한 텍스트 만 삽입하여 PT에 집중하게 함... 나도 나중에 이런 방식으로 PT 꼭 해보고 싶다
1.프로젝트 명 : 새마을금고연합회 자기앞수표 전산시스템 구축
2.개요/범위 : 자기앞수표 자체 발행 및 별단예탁금 관리 전산시스템 구축 (이미지 시스템 구축, 계정계 업무 S/W 개발)
3.구축 기간 : 2007년 11월 2일 ~ 2008년 3월 31일 (5개월)
4.오픈 일자 : (1차) 2008년 3월 5일 (2차) 2008년 3월 12일
5.주요 적용 솔루션 :
H/W : IBM p570, x3550, TS3200, Hitachi USP, WMS 100, BR200E, PAS4509, Cat. 2960, HP DL380, VL2007-FX 등
S/W : Oracle 10g, JEUS/WebtoB, dDIMS, iProc, TWS, TSM, REXPERT, RCmade, Redcastle, NetIQ 등
6.담당 업무 : TA
7.주요 이슈 및 Lessoned Learn
- H/W, S/W 납품에 대한 중간검수 조기 완료
-> 11월 중순 경 올해 검수를 마쳐야한다는 사업부미션이 있다고 공지하여 이에 맞추어 준비
협력사들의 제품 delivery협조, 라이센스 조기 발급에 따른 무상기간 연장, 검수를 위한 임시 구성 후 차후 서비스를 위한 재구성 작업, 조기 검수를 위한 고객 협조 등으로 검수 완료
프로젝트 투입시 조기 검수를 해야하는 상황인지 확인이 필요하며 이에 따른 영업, PM, 고객, 협력사 들의 적극적인 협조 및 협업 필요
- Mainframe DB2 연계 방안 검토 부족
-> 제안시 어음교환서버와 계정계DB2 서버간 통신을 위해 IBM COMM & CTG Server 를 활용할 계획이었음. 실제 구성을 위해 고객과 협의 시 현재 새마을금고에 DRDA (DB2 connector)로 구성이 되어 있고 DRDA 구성으로 하는 것을 권고
DRDA 구성 및 사용 라이센스 fee에 대해서는 고객 내부적으로 해결. 결국 COMM & CTG server는 납품만 하고 사용하지 않게 됨
단납기 제안으로 고객과 협의를 못했다면 계약시 고객과 주요 사안들에 대해서는 협의를 통해 결정하고 가는 것이 프로젝트 수행 시 이슈를 최소화 할 수 있다고 생각
- 불필요한 S/W 도입
-> 작업관리 S/W인 TWS (Tivoli Workload Scheduler)가 도입되었으나 배치 작업이 하나밖에 없어 굳이 S/W 도입이 필요없는 상황. 사업팀에서는 차후 확장성을 위해 도입하였다고는 하나 향후 사용할지는 의문임
제안 시 불투명한 확장성을 위한 제안보다 최적화된 제안을 하는것이 바람직하다고 생각
- 오픈 대상 지역 명확화 필요
-> 프로젝트 기간내 30개 금고에 대해서만 오픈해주는 것으로 정의하였으나 실제 금고 하위 단위인 분소가 존재하여 물리적인 단위로는 58개의 금고,분소가 오픈 대상임. 금,분소별로 agent 설치하는것이 있어 기간내 완료하는라 약간의 고생이..
용어에 대해 서로 오해가 없도록 한번더 확인 필요 (예를 들어 금고가 물리적인 단위인지, 논리적인 단위인지)
"ITA/EA 기본" 교육 후기
교육일정 : 2008.03.17 ~ 03.18
강사 : 사업이행본부 공공서비스부문 PE센터 IT전략팀 박현주 과장 / 황인희 과장
사업이행본부 기술서비스부문 아키텍처센터 EA컨설팅팀 추준오 총괄
교육에 대한 정리/요약보다 중요하고 필요하여 나중에 다시 보아야 할 사항들 위주로 정리하였습니다.
강의는 세 분이 진행하여 주셨고 EA 프로젝트 혹은 필요자료가 있으시다면 강사분들께 요청하시면 되겠습니다.
Module 1. ITA/EA 개요
ITA와 EA 용어에 대해 혼동이 있으나 결론적으로 얘기하면 동일한 용어입니다. 정통부에서 ITA, 행자부에서 EA라는 용어를 각각 사용하였으나
"정보시스템의 효율적도입 및 운영 등에 관한 법"('05.12) 이 제정되면서 용어를 ITA/EA로 통일 (정통부, 행자부의 의견을 모두 수렴해 ITA/EA로 결정)
상기 법이 제정됨에 따라 일정규모 이상의 공공기관은 ITA/EA 를 시행해야하기 때문에 공공기관에서 EA 프로젝트가 검토 및 수행되고 있음
LG CNS의 경우 기상청, 해양수산부 등 다양한 구축 경험이 있으나 EA 프로젝트의 경우 수익성이 떨어저 다소 기피하는 현상 발생 (ISP의 경우 차기 프로젝트가 명화하나 EA는 그렇지 않음)
IT Governance, ISP, ITSM, ITA/EA 용어가 다소 혼동될수 있어 다음과 같이 정리하였씁니다.
IT Governance - IT에 대한 효과성, 투명성, 책임성 확보를 위한 의사결정 체계
ISP - 미래 정보화 사업에 대한 계획, 마스터 플랜의 수립(계획 및 조직)
ITSM - 합리적 수준, 만족 가능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관리체계
EA - IT governance 지원을 위한 구조, 관계, 원칙 및 가이드 라인
잘 이해가 안되시죠?
ISP는 주로 개별업무/사업 위주로 효율화를 위해 프로젝트를 하는 것이고요, EA는 조직 전체에 대해 IT 도입/활용 최적화를 위해 프로젝트를 하는것입니다
수행 중 ISP는 SI업체가 주도하여 발주기관은 프로젝트 관리만하는 것이라면, EA 는 SI업체는 컨설팅만 제공하고 발주기관 내부 EA팀을 조직해서 EA팀이 프로젝트를 주도해간다는 점이 큰 차이입니다.
ITSM은 운영 및 지원 위주로 효율화를 위해 프로젝트를 하는것이고 IT Governance는 계획, 도입/구축, 운영, 모니터링 전체 프로세스에 대한 의사결정체계를 구축할 수 있도록 해주는 것입니다.
아래그림 참고하시면 좀 도움이 될듯 합니다.
EA를 효율적으로 개발, 관리하기 위해서 EA모델링 도구 및 EAMS(IT AMS)를 적용한다고 함.
Module 2. EA 정의 및 모델링
자사의 EA 방법론으로 ADP(Architecture Design Plan) Planner이 있다고 합니다. 정식 명칭은 WAU4U의 EA ~~~ 라고 하는데 이름이 길어 제안서에는 ADP Planner라고 기재한다고 합니다.
SI 프로젝트가 분석, 설계, 구현, 테스트, 안정화 라면
EA 프로젝트는 아래와 같습니다
1000 EA 비전 및 원칙 수립
2000 비즈니스 모델 정의
3000 현황 분석
4000 EA 수립
5000 전환계획 수립
6000 EA 관리체계 수립
단계별 상세내용을 적어보려했으나 너무 방대하고 제가 적는다고해도 이해도가 낮을것 같아 관심있으신 분들은 아래 위치 참조하셔서 쭉~ 한번 훝어보시는게 나을듯 합니다.
OfficePlus > Knowledge > WAY4U > 경로전체보기 > 컨설팅 > EA
보통 5개월 프로젝트의 경우 100개 업무시스템이 있다면 PM , BA, AA, DA, TA 각 1명씩 투입된다고 합니다.
EA비전, 비즈니스 모델정의시는 PM, BA 만 투입되어 수행하고 그 이후는 각 1명씩혹은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그 이상 투입되어 프로젝트를 수행한다고 합니다.
Module 3. 사례
기상청, 해수부, LG화학, LG텔레콤 구축 사례를 기준으로 EA 프로젝트 전체 흐름에 대해 산출물 캡쳐한것을 보여주시면서 교육진행을 하였고
국민건강보험 EA 구축한 시스템을 보여주시면서 시연회를 잠시가졌습니다.
EA 프로젝트의 경우 ppt 산출물 작성이 반, EA를 관리할수있도록 EA 시스템 구축하는것이 반이라고 합니다. 모든 전사시스템을 분석하여 웹으로 보여주려면 상당한 노가다성 작업이 프로젝트 기간중에 해야한다고 합니다.
refer. site : www.itapmo.or.kr (정보기술아키텍쳐포탈)
---
간략하게 나마 ITA/EA 교육 후기 올립니다. EA 관심있으신 분들은 참고하시고요.. 업무하시는데 도움 되셨으면 합니다.